인생길 따라 도보여행

20130602[죽령옛길-희방사옛길-소수서원-소백산자락길1구간(삼가리-비로사-달밭골-초암사-주차장)]

메나리 2013. 6. 3. 19:33

언   제 : 2013년 6월 2일 일요일

어디로 : 죽령옛길-소백산역-희방사옛길-희방사주차장-소수서원-소백산자락길1구간(삼가리-비로사-달밭골-초암사-주차장)

누구랑 : 생길따라 보여 대전방 행님들과

 

 

 

 

 

가딩님이 올리신 지도 자료

 

 

 

 

 

 

 

 

 

 

 

 

 

 

 

 

 

 

 

 

 

 

 

 

 

 

 

 

영남제1관 옆으로 죽령옛길이 열리고

그길은 도솔봉으로 가는길도 된다......

 

 

 

 

 

 

 

 

 

 

 

싱그런운 푸르름이 가득한 오솔길을 따라

 

 

 

길은 이어지고......

 

 

 

 

 

 

 

 

 

 

 

 

 

 

 

 

 

 

 

 

 

 

 

 

 

 

 

멎진 모습이죠......

 

 

 

 

 

 

 

 

 

 

 

 

 

 

 

 

 

 

 

 

 

 

 

 

 

 

 

 

 

 

 

 

 

 

 

 

 

 

이런 기차길을 보면 어디론가 머얼리 여행가고 싶었는데......

 

 

 

 

 

 

 

 

 

 

 

고들빼기?

 

 

 

 

 

 

 

장미가 활짝핀 길을따라......

 

 

 

계곡길로 이어집니다......

 

 

 

 

 

 

 

 

 

 

 

 

 

 

 

 

 

 

 

 

 

 

 

 

 

 

이곳에서 점식식사후

 

 

 

 

 

 

 

문화재 소개

요약설명

조선 중기에 세워진 서원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서원이자 최초의 사액 서원이다. 서원은 조선 중종 37년(1542)에 풍기군수였던 주세붕이 우리나라 성리학의 선구자인 문성공 안향의 영정을 모신 사묘를 세우고 양반자제들의 교육을 위한 백운동서원을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후에 명종이 풍기군수로 부임한 퇴계 이황의 건의를 받아들여 백운동서원에 ‘소수서원’이라는 친필 현판과 서적을 하사하고 토지와 노비를 주면서 면세와 면역의 특권을 내렸는데 이것이 사액서원의 시초가 되었다.

소수서원의 건물은 일반적인 서원 배치인 앞의 공부공간, 뒤의 제사공간 형태인 전당후묘 방식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상세설명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임금이 이름을 지어 내린 사액서원이자 사학(私學)기관이다. 조선 중종 37년(1542)에 풍기군수 주세붕이 안향을 제사하기 위해 사당을 세웠다가, 중종 38년(1543)에 유생들을 교육하면서 백운동서원이라 하였다. 명종 5년(1550)에는 풍기군수 이황의 요청에 의해 ‘소수서원’이라 사액을 받고 나라의 공인과 지원을 받게 되었다. 중종 39년(1544)에 안축(安軸)과 안보(安輔)를 제사지냈고, 인조 11년(1633)에는 주세붕을 더하여 제사지냈다. 서원의 건물은 비교적 자유롭게 배치되었는데, 일반적인 서원의 배치가 완성되기 이전인 초기의 서원이기 때문인 듯하다. 정문으로 들어서면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학생들이 머물며 공부하는 일신재와 직방재가 연속으로 있다. 서원의 일반 배치가 강당 좌우에 대칭으로 동·서재를 두는 것인데 비해, 소수서원은 현판의 이름으로서 구분하였다. 사당은 명륜당의 서북쪽에 따로 쌓은 담장 안에 있다. 서원이 있던 자리에는 원래 통일신라시대의 절인 숙수사가 있었는데, 그 유적으로 당간지주와 초석 등이 남아있다. 소수서원은 조선시대 후기에 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할 때 살아남은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며, 지금도 매년 봄·가을에 제사를 지낸다.
※(소수서원 → 영주 소수서원)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입장료 3,000냥을 내고...... 

 

 

 

 

 

 

 

 

 

 

 

 

 

 

 

 

 

 

 

 

 

 

 

 

 

 

 

 

 

 

 

 

 

 새끼꼬는 기계도 오랜만에 보네요......

 

 

 

 

 

 

 

 

 

 

 

 

 

 

 

 

 

 

 

 

 

 

 

 

 

 

 

 

 

 

 

 

 

 

 

 

 

 

 

 

 

 

 

 

 

 

 

 

 

 

 

 

 

 

 

 

 

 

 

 

 

 

 

 

 

 

 

 

 

 

 

 

 

 

 

 

 

 

 

 

 

 

 

 

 

 

 

 

 

 

 

 

 

 

 

소백산자락길1구간에서......

 

 

 

 

 

 

 

 

 

 

 

 

 

 

 

 

 

 

 

광대수염

 

 

 

뱀딸기?

 

 

 

 

 

 

 

 

 

 

 

 

 

 

 

 

 

 

 

수영---흔히 보는

 

 

 

장대나물

 

 

 

민백미꽃?

 

 

 

천남성

 

 

 

은난초

 

 

 

은대난초?

 

 

 

이곳에서 국망봉에서 내려오는길과 만나네요......

 

 

 

 

 

 

 

 

 

 

 

 

 

 

 

그 오랜 세월을......

 

 

 

붓꽃......붓처럼 생겻다해서 붓꽃이라던데 이런모습은 처음......

 

 

 

 

 

 

 

 

 

 

 

백당나무

 

 

 

 

쇠별꽃

 

 

 

주차장에 다 왔네요......ㄷㄷㄷ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