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104[내장산(서래봉매표소-불출-까치-순창새재-상왕봉-백학봉-백양사)
언 제 : 2008년 11월 3일 화요일
어디로 : 내장산, 백암산(서래봉매표소-불출봉-망해봉-연지봉-까치봉-소등근재-순창새재-상왕봉-백학봉-백양사)
누구랑 : 청솔산악회 49명과 같이
09:57 서래봉 매표소에서 산행 시작
10:29 서래봉, 불출봉 갈린길--->불출봉으로
10:55 불출봉
11:36 망해봉
12:05 연지봉
12:23 까치봉
12:34 신선봉과 소등근재 갈림길
13:12 소등근재
13:27 순창새재
14:11 상왕봉
14:47 헬기장
14:59 백학봉
15:35 약사암
15:43 운문암 약사암 갈림길
15:50 백양사
16:24 주차장--->산행종료
6시간 반정도
서래봉이 가깝게 보입니다~
불출봉~
서래봉~
서래봉~
망해봉-연지봉-까치봉이~~~
산림청 헬기가 왔다갔다 합니다~
신선봉-까치봉-연지봉~
내장산 계곡도 참 아름답습니다~
순창새재에서~
운문암~
백암산 아래 운문암~
백양사~
영천굴~
약사암~
단풍잎 사이로 백양사 담장이 보이네요~
고불총림(古佛叢林)이란?
수행규모 면으로 : 총림 > 사찰 > 산내암자
- 총림은 강원, 선방, 염불당, 율원 등이 총 망라해서 집합된 곳을 말합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대한불교조계종에 수덕사에 있는 덕숭총림, 통도사에 있는 영축총림,
해인사에 있는 해인총림, 송광사에 있는 조계총림, 백양사에 있는 고불총림 등 오대 총림이 있습니다.
또한 한국불교태고종엔 순천 선암사에 태고총림이 있습니다.
- 사찰은 일반 단위사찰을 말합니다.
- 산내암자는 주로 총림이 있는 큰사찰이 딸린 암자를 말합니다.
또한 일반 단위사찰 중 큰 사찰안에 딸린 암자도 산내암자라고 합니다.
백양사 홈피에서~
절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공부하는 스님들이 사는 곳입니다.
승가의 하루는 새벽 3시에 시작합니다. 3시가 되면 한 스님이 목탁을 치며 도량을 돕니다(道場釋). 그 목탁소리를 듣고
모든 스님들이 일어납니다. 도량석이 끝나면 아침 종성과 4물(목어, 운판, 법고, 대종)이 울리고 이어서 대웅보전에서
경건하게 새벽예불을 올립니다. 선원에서 정진중인 스님들은 도량석이 끝나면 선원 큰방에서 죽비로 예불을 드리고 바로
참선 정진에 들어갑니다. 예불이 끝나면 강원 스님들은 큰방에서 간경(看經)을 합니다. 아침 공양은 6시에 있습니다. 스
님들은 큰방에 순서대로 빙 둘러앉아 각자 자신의 발우로 공양을 합니다.
총림(叢林)의 뜻은 범어 vindhyavana의 번역으로 빈타파나(貧陀婆那)라 음역하며, 단림(檀林)이라고도 번역합니다. 승속
(僧俗)이 화합하여 한 곳에 머무름이(一處住) 마치 수목이 우거진 숲과 같다고 하여 이렇게 부르는 것입니다. 특히 선찰
(禪刹)의 경우 이름으로 공덕총림(功德叢林)이라고도 합니다.
지도론 삼(智度論 三)에 의하면 '승가(僧伽)는 중(衆, 무리의 뜻)의 뜻이니 많은 비구가 한 곳에 화합하여 머무는 것을
승가라고 한다. 마치 큰 나무들이 숲을 이룬 것을 林이라 함과 같으니, 승취(僧聚)가 모여 사는 곳이므로 총림이라 한다
.'고 하고 있습니다. 즉 지금의 선원(禪院), 선림(禪林), 승당(僧堂), 전문도량(專門道場) 등 다수의 승려대중이 모여
수행하는 곳을 총칭하여 총림(叢林)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총림이 되기 위해서는 승려들의 참선수행 전문도량인
선원(禪院)과 경전 교육기관인 강원(講院), 계율 전문교육기관인 율원(律院) 을 모두 갖춘 사찰을 지칭하는 말로 우리나
라는 "해인사, 통도사, 송광사, 수덕사, 백양사" 5대 총림이 있습니다. 고불총림 백양사는 1996년 3월 총림으로 공식 승
격되었습니다.
버스가 한참 위로 올라와서 주차하는 바람에......081025일 찍은 사진 첨부~~~
백양사 주위와
쌍계루
그리고 주차장으로 내려오면서
바라본 가로수들은
지금 단풍이 한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