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00605[매봉산(피재-매봉산-금대봉-분주령-검룡소주차장)]

메나리 2010. 6. 6. 21:41

언   제 : 2010년 6월 5일 토요일

어디로 : 대덕산(피재-매봉산-금대봉-분주령-검룡소주차장)

누구랑 : 새여울산악회따라

 

 

 

원래는 위코스대로 하면서 대덕산까지

산행할려고 하였으나 시간관계상

대덕산 아래인 분주령에서 하산하였습니다.......

 

날씨가 너무 좋아

파아란 하늘과 구름

초록의 숲은

환상이었습니다

 

 

삼수령

백두산에서부터 뻗어내린 백두대간은 태백시의 중심부에 이르러 서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동남쪽으로 낙동정맥을 분기한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도 삼해로 물길을 가르는 분수령을 이루는 이곳이 삼수령(일명 피재)이라고 한다. 삼수령의 높이는 약 935m. 태백시내(평균 해발 700m)에서 35번 국도를 타고 오를 때는 잠깐 사이에 정상에 이르러 그 높이를 실감할 수 없으나 정상 부근에서 동쪽으로 가파른 절벽과 확 트인 절경은 지나는 이들로부터 절로 발길을 멈추고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삼수령에서 북류하는 골지천은 정선 아우라지를 거쳐 남한강을 이루어 황해에 이르게 되며 남류하는 황지천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천천동굴(하천수가 바위를 뚫어 생긴 동굴)인 구문소를 거쳐 낙동강을 이루어 남해에 이르며 동류하는 오십천은 청정해역 동해에 이른다.

-하늘이 열리고, 우주가 재편된 아득한 옛날 옥황상제의 명으로 빗물 한가족이 대지로 내려와 아름답고 행복하게 살겠노라고 굳게 약속을 하고, 하늘에서 내려오고 있었다. 이 빗물 한가족은 한반도의 등마루인 이곳 삼수령(三水嶺)으로 내려 오면서 아빠는 낙동강으로, 엄마는 한강으로, 아들은 오십천강으로 헤어지는 운명이 되었다. 한반도 그 어느 곳에 내려도 행복했으리라. 이곳에서 헤어져 바다에 가서나 만날 수 밖에 없는 빗물가족의 기구한 운명을 이곳 삼수령만이 전해주고 있다.-

한편 삼수령은 피재라고도 불리웠는데, 이는 옛날부터 황지지역은 도참설에 의해 "이상향" 으로 여겨져서 시절이 어수선하면 삼척지방 사람들이 난리를 피하기 위해 이 재를 넘어 피난을 온 고개라는 뜻에서 유래 되었다.

 

 

 

 

 

 

 

 

 

 

 

 

 

 

 

 

 

 

 

미나리아재비~

 

 

 

유럽나도냉이 군락~

 

 

 

미나라아재비 군락~

 

 

 

유럽나도냉이~

 

 

 

 

 

 

 

 

 

 

 

우산나물~

 

 

 

 

 

 

 

 

 

 

 

 

 

 

 

 

 

 

 

 고냉지 채소밭에 물주는 농심......

 

 

 

 

 

 

 

 

 

 

 

 

 

 

 

 

 

 

 

 

쥐오줌풀~

 

 

 

양지꽃~

 

 

 

민둥갈퀴~

 

 

 

 

 

 

 

 

 

 

 

병꽃~

 

 

 

 

 

 

 

함백산 전경입니다......보기가 안쓰럽죠~

 

 

 

 

 

 

 

 

 

 

 

 

 

 

 

 

 

 

 

 

 

 

 

금강애기나리~

 

 

 

 

 

 

 

졸방제비꽃~

 

 

 

 

 

 

 

 

 

 

 

 

 

 

 

 

 

 

 

 

 

 

 

 

 

 

 

 

 

 

 

 

 

 

 

 

 

 

 

 

 

 

 

 

 

 

 

 

 

 

 

 

 

 

 

 

 

 

 

 

 

 

 

 

 

 

 

 

 

 

 

 

 

 

 

 

 

 

 

 

 

 

 

 

 

 

 

 

 

 

 

 

 민들레밭입니다~

 

 

 

 

 

 

 

유럽나도냉이 군락지인데 꼭 유채꽃밭 같습니다~

 

 

 

 

 

 

 

 

 

 

 

 

 

 

 

 

 

 

 

 

민들레 홀씨~

 

 

 

 

 

 

 

바디나물......참나물과 비슷합니다...

 

 

 

 

 

 

 

염주괴불주머니~

 

 

 

 

 

 

 

줄딸기~

 

 

 

민둥갈퀴~

 

 

 

쥐손이풀~

 

 

 

애기나리......큰애기나리는 꽃이 아래로 내려간답니다~

 

 

 

나도냉이~

 

 

 

감자난~

 

 

 

쥐손이풀~

 

 

 

 터리풀~

 

 

 

미나리냉이~

 

 

 

둥굴레~

 

 

 

벌깨덩굴~

 

 

 

얼레지 씨방~

 

 

 

눈개승마?

 

 

 

 

 

 

 

붉은참반디~

 

 

 

피나물~

 

 

 

족두리풀~

 

 

 

 

 

 

 

앵초~

 

 

 

 

 

 

 

선갈퀴~

 

 

 

미나리아배비~

 

 

 

금강애기나리~

 

 

 

홀아비바람꽃~

 

 

 

 

얼레지~

 

 

 

요강나물~

 

 

 

 

 

 

 

매발톱나무~

 

 

 

전호~

 

 

 

괭이눈~

 

 

 

홀아비꽃대~

 

 

 

금강애기나리~

 

 

 

풀솜대~

 

 

 

노루삼~

 

 

 

광대수염~

 

 

 

선밀나물?

 

 

 

 

 

 

 

당개지치~

 

 

 

고추나무~

 

 

 

괴불나무~

 

 

 

 

 

 

 

고광나무?

 

 

 

노랑갈퀴~

 

 

 

 

 

꽃이름이 틀릴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