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사진

20100606[덕유산(리조트-설천봉-향적봉-백암봉-횡경재-갈미봉-빼재)]

메나리 2010. 6. 7. 21:13

언   제 : 2010년 6월 6일 일요일
어디로 : 덕유산(리조트-설천봉-향적봉-백암봉-횡경재-갈미봉-빼재)
누구랑 : 금강산악회따라

 

 

 

----  리조트에서 곤도라 타고
09:52 설천봉에서 출발
10:12 향적봉
10:37 중봉
10:59 백암봉
12:23 횡경재
13:07 못봉
14:49 갈미봉
16:00 수령(신풍령=빼재)
6시간 10분가량
2.6KM 남은 이정표 표시된데서부터 고개를 몇번이나 넘은것 같은데 기억이 안남.

 

 

빼재

덕유산(해발 1,614m) 산줄기와 덕유삼봉산(해발 1,254m - 전북과 경남의 경계)을 잇는 백두대

간 상의 고개로 길이는 약 24km이며 이름이 빼재이다. 다시 말해, 국도 37호선 무주와 거창

경계에 자리하고 있다.
대부분의 고개 이름이 한자어로 명명되어 있음에도 지도상에 특이하게도 우리말인 빼재로 명

기된 데에는 그만한 연유가 있다. 삼국시대부터 신라와 고구려, 백제의 접경지역이었기에 전

략의 요충지로서, 역사의 격동기마다 수많은 전투가 이곳에서 치뤄졌고, 그에 따라 수많은 민

관군이 이곳에 뼈를 묻어야만 했다. 또 숱한 국난 중에서도 임진왜란 당시 왜구와 맞서 싸울

때 이곳의 토착민들은 험준한 지형 속에서 산짐승들을 잡아 먹어가며 싸움에 임했고 그 산짐

승들의 뼈가 이곳저곳 널리게 됐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전해진다. 어쨌든 그 뼈라는

데서 유래한 뼈재라는 이름이 경상도 방언으로 빼재가 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이를 한자지명으

로 지도에 표기할 때 빼어날 수(秀)자를 써서 수령(秀嶺)이 되었다고도 한다. 그런데 빼재가

십수년 전 포장이 되면서 고개 마루 정상 밑에 신풍령이라는 이름의 휴게소가 들어서게 되었

고, 이 후 고개 이름은 빼재라는 이름과 신풍령이라는 이름이 동시에 회자되기에 이르렀다.

그런 사연이 있는 만큼 신풍령보다는 빼재라고 부르는 것이 맞다.

빼재 정상에서 거창방향으로 내려가다 우측의 조그마한 휴게소 옆으로 가면 한자로 수령(秀嶺

)이라는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이 곳에서 거창 쪽으로 보이는 시계는 거칠 것이 없다. 동남

쪽의 가야산을 비롯해 남쪽의 시루봉과 호음산, 남서쪽의 금원산, 기백산 일대 산군의 장쾌한

능선이 만들어내는 파노라마는 보는 이의 가슴을 탁 틔우게 한다. 멀리로는 지리산 연봉의 웅

장한 모습도 조망된다. 빼재는 백두대간 종주자들에게 중요한 휴식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향적봉을 중심으로 했을때, 동북쪽의 소사고개에서 남서쪽의 동엽령으로

이어지는 덕유산 준령은 해발 1,000m가 넘는 고봉들이다. 그런 봉우리들을 밟는 중간에 빼재

에서 한숨 돌리지 않을 수 없다. 고개 남쪽으로 시선을 돌려서 보게 되는 호음산(해발 930m)

자락에는 주민들이 고랭지 채소밭을 일구고 있어 고산준령 아래에 펼쳐진 초원인양 아름다운

풍광을 자아낸다. 빼재는 해발 1,000m 가까이 되는 고지대라서, 가을이 되면 단풍과 낙엽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어 또다른 매력을 느끼게 해준다. 한편, 거창군에서는 빼재(수령)에서 호

음산 자락을 휘도는 임도를 개발해 산악자전거 동호인들의 취미생활에도 일조를 하고 있어,

경북 일대 산악자전거 애호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빼재 정상에서 거창방면으로 내려가

는 길은 곳곳에 심하게 굽이도는 커브길이 계속 이어진다.

 

 

 

 

 

 

 

 

 

 

 

 

 

 

 

 

 

 

 

 

 

 

 

 

 

 

 

 

 

 

 

 

매발톱나무라던데......

 

 

 

 

 

 

 

개별꽃?~

중봉까지 가는 산길가에 계속 피어있습니다

 

 

 

벌깨덩굴

 

 

 

고목속에 졸망졸망 피어있습니다.

 

 

 

박새~

 

 

 

참꽃마리~

 

 

 

 

 

 

 

 

 

 

 

 

 

 

 

 

 

 

 

 

 

 

 

 

 

 

 

 

 

쥐손이풀~

 

 

 

 

 

 

 

처녀치마~

 

 

 

 

 

 

 

 

 

 

 

 

 

 

 

딱총나무~

 

 

 

 

 

 

 

 

 

 

 

 

 

 

 

 

 

 

 

 

 

 

 

 

 

 

 

 

 

 

 

 

 

 

 

 

 

 

 

노랑제비꽃~

 

 

 

 

 

 

 

 

 

 

 

 

 미나리아재비~

 

 

 

 

 

 

 

 

 

 

 

 

 

 

 

미나리아재비~

 

 

 

 

 

 

 

백암봉~

 

 

 

 

 

 

 

처녀치마~

 

 

 

 

 

 

 

애기나리~

 

 

 

풀솜대~

 

 

 

말나리류?

 

 

 

금강애기나리~

 

 

 

 

 

 

 

 

 

 

 

쥐오줌풀~

 

 

 

솔나리~

 

 

 

선백미꽃~

 

 

 

금강애기나리~

 

 

 

 

 

 

 

 

 

 

 

꽹이밥~

 

 

 

숲이 좋아서~

 

 

 

 

 

 

 

 

 

 

 

 

 

 

 

 

 

 

 

 

 

 

 

 

병꽃~

 

 

 

앵초~

 

 

 

 

 

 

 

 

 

 

 

 

 

 

 

 

 

 

 

 졸방제비꽃?

 

 

 

선밀나물?

 

 

 

???

 

 

 

 

 

 

 

 

 

 

 

 

 

 

 

숲이 좋아서~

 

 

 

 

 

 

 

 

 

 

 

 

 

 

 

 

 

 

 

 

 

 

 

 

 

 

 

 감자난~

 

 

 

 

 

 

 

 

 

 

 

 신풍령구간 도로위에 이런거로 벽을 지지했네요......

 

 

 

 

 

 

 

 

 

 

 

 

 

 

 

 

 

 

 

 폐쇄된 휴게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