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산둘레길4-1구간
언 제 : 2021년 2월 6일토요일, 날씨는 맑으나 미세먼지로 시야는흐림
어디로 : 연산구네거리-백재군사박물관-탑정호수변공원-탑정호출렁다리-대명산-충곡서원-돈암서원-연산역
누구랑 : 계룡산둘레길 회원님들과
오랜만에 계룡산둘레길4-1구간을 다녀왔습니다.
여러 유적중......
모선재(慕先齋)는 조선 중기 예학의 대가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조부(祖父)인 김호와 부친 김계휘(金繼輝)의 위패를 모시기 위하여 자손들이 건립한 재실이다. 정확한 건립 연대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으나 대략 1700년대 초반인 것으로 전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모선재 [慕先齋]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충곡서원
1688년(숙종 1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계백(階伯)과 박팽년(朴彭年)·성삼문(成三問)·이개(李塏)·유성원(柳誠源)·하위지(河緯地)·유응부(兪應孚) 등 사육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그 뒤 1933년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관계당국의 협조를 얻어 복원하였으며, 이현동(李賢童)·박증(朴增)·김정망(金廷望)·김익겸(金益兼)·김홍익(金弘益)·이민진(李敏進)·김만중(金萬重)·박종(朴種)·조병시(趙秉始)·김자빈(金自殯)·이학순(李學純) 등 11명을 추가 배향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사우(祠宇), 중앙의 신문(神門)과 양옆의 협문(夾門)으로 된 내삼문(內三門), 각 3칸의 동재(東齋)·서재(西齋), 성삼문의 유허비(遺墟碑), 정문(旌門) 등이 있다. 사우에는 계백을 주벽(主壁)으로 하여 17현의 위패가 좌우에 배향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충곡서원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돈암서원
사적 제383호. 1634년에 창건되었으며 기호학파의 거두인 김장생의 위패를 모셨다. 1660년(헌종 1년)에 사액을 받았으며, 충청지역을 대표하는 서원이다. 김장생의 아들인 김집을 비롯하여, 송시열과 송준길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가당인 응도당, 양성당,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있으며 이밖에 장판각, 정의당, 고직사, 사당인 유경사를 두고 있다. 1881년(고종 18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훼철되지 않고 남았던 47개 서원 가운데 하나이다.
대명산 오르던중 전망대에서......
감사합니다.